본문 바로가기
주식 관련

주식 배당금 - 기준일, 배당락

by 제이빅 2021. 6. 29.

주식 배당금

요즘 경제 뉴스에 중간배당금이 4조원 안팎이고, 언제까지 사야 배당 받을 수 있다는 등의 기사가 나오고 있습니다.

 

주식 배당금 관련 기사

 

 

먼저 배당금은 무엇인지 알아보면요

 

배당금 뜻

 

배당금 뜻

기업의 이익잉여금을 기업의 소유주에게 분배하는 것을 말하는데, 소유주란 결국 주주를 말하는거죠. 기업의 주식을 1주만 가지고 있어도 주주명부에 등록이 됩니다. 주주는 가진 주식 수에 비례하여 이익잉여금을 분배받게 되는데, 이를 주식 배당금이라고 해요.

 

하지만 모든 상장 기업이 이런 배당 문화(?)를 가지고 있진 않습니다. 기업의 이익이 지속적으로 나와야 주주들에게 나눠줄 수 있겠죠? 그러므로 주식 배당을 하는 기업은 어느 정도 사업을 잘 영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듯해요. 

 

그럼 배당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할 까요? 배당 주식에는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지급일이란 것이 있는데요, 하나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배당기준일

 

배당기준일은 기업에서 배당을 시행할 때 배당을 받는 주주들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날을 뜻합니다. 배당을 받으려면, 이 배당기준일에 해당 기업의 주식을 보유를 해야합니다. 1년 중, 주식을 보유하다 기준일 전에 매도해버린다면 기준일에는 주식을 보유하지 않게 되어, 안타깝게 배당을 받을 수 없게 되죠. 하지만 반대로, 1년 내내 보유하지 않다가 기준일에만 주식을 보유해도 배당을 받을 수 있죠. 그럼 배당 기준일은 언제일까요? 

 

1년 배당 기준 12월 30일

연간 배당 기준으로, 배당 기준일은 매년 마지막 영업일인 12월 30일입니다. 매년 마지막 날인 12월 31일은 휴장이기 때문에 12월 30일에 주식을 보유해야 주주명부에 등록이 되기 때문이에요. 그러면 12월 30일에 매수하면 될까요? 

 

배당기준일 매수 시 배당 불가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30일에 매수할 경우는 배당을 받지 못합니다. 12월 30일에 주식을 '보유'해야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우리나라 증권시장은 투자자가 매수 주문을 넣어 매수를 할 경우 체결일로부터 3일째되는 날(D+2일)에 결제됩니다. 이는 영업일만 뜻하며 비영업일이 중간에 생기면 그만큼 지연되겠죠?

 

예를 들면, 6월29일 화요일에 매수 체결이 된다면, 실제 내 주식은 D+2영업일인 7월 1일 목요일에 실제 주주가 됩니다. 그래서 2021년 12월 30일(목요일)에 매수 체결이 되면, 31일 비영업일, 22년 1월1일~2일 역시 주말이라 비영업일이며, 1월 4일에 실제 주주가 됩니다. 

 

그러므로, 2022년에 배당을 받으려면 적어도 21년 12월 28일까지는 매수 체결을 해야 30일에 주식을 보유하게 됩니다. 만약 28~30일 사이에 비영업일이 껴있으면 더 일찍 매수해야겠죠? 참고로 28일에 매수체결 후 29일에 매도해도 기준일인 30일에는 주주명부에 등록되고 그 다음 날부터 주주총회 종료일까지 주주명부가 폐쇄되기에, 권리 확정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죠.(매도 체결 역시 D+2영업일에 처리가 되기 때문이죠.)

 

기업마다 배당을 실시하는 곳, 하지 않는 곳이 있지만 배당을 실시하는 기업 중에도 배당 시기가 다른 기업이 있는데요, 연간 1회 배당하는 곳, 연간 2회(반기 배당) 배당하는 곳, 연간 4회(분기 배당) 배당하는 곳이 있습니다. 

 

국내 코스피 중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의 경우,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때 기준일은 각 분기 마지막 영업일이 됩니다.

 

배당락 

배당주에는 배당락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배당락은 배당을 현금이 아닌 주식으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회사의 시가총액을 유지하기 위해 1주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면, 회사에서 10%의 주식을 배당한다고 할 때, 배당락일에는 주가를 10% 낮게 잡아 거래를 시작하게 되죠.

 

종가가 10,000원인 회사가 주식배당 10%를 할 예정일 경우, 배당락일의 기준가격은 9,000원이 되는, 1,000원의 배당락이 발생합니다. 배당락일은 주식을 매수해도 배당권리를 받을 수 없는 날이라고 보시면되요. 

 

연간 배당을 예시로, 12월 30일이 배당기준일이었죠? 기준일에는 주식을 보유해야 하므로, 12월 28일까지는 매수를 체결해야합니다. 그럼 12월 29일에는 매수 체결을 해도 배당을 받지 못하게됩니다. 이 날을 배당락일이라고 해요. 

 

배당락 당일 주가 하락

현금배당을 실시해도 배당락일에는 주가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요. 기업에서 배당을 실시하면 보유 현금이 줄어들게 되어 배당 예상치에 따라 일정 수준의 시장하락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끔 연말에 배당을 노리고 특정 종목을 매수하는 전략을 취하기도 하는데요, 배당락일에 하락은 이 날 매도하는 물량이 많이 나와서 주가 하락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만약 배당 수익을 노리고 투자를 하시겠다면, 배당률과 배당락일에 주가 하락 예상을 함께 고려하셔야 합니다. 요즘엔 인터넷에서 종목 배당금 검색을 해보시면, 종목별 이전 배당금과 배당률을 확인할 수 있더라구요.

 

배당금 결정

기업별 배당금, 배당률 자료

배당금은 매년 주주총회에서 결정되는데, 각 기업의 공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는 셀트리온의 배당결정 공시 입니다.

셀트리온 배당결정 공시 자료(DART)

2020년 주식배당결정 공시인데요, 셀트리온은 주식 배당을 하고 있습니다.

 

1주당 배당주식수가 0.02, 그러니까 배당률은 2% 정도로 볼 수 있고, 그럼 50주를 보유하였을 경우 1주를 배당 받게 됩니다.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정기주총 전일 종가 기준으로 환산하여 현금 지급도 같이 받게 됩니다.

 

주식 배당에 대해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성투하세요.


 

아래글도 함께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PBR? 주식 용어 정리 (with BPS)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왔네요. 오늘은 주식 투자 시 참고할만한 용어 정리를 해보려고 해요 ㅎㅎ 주식용어, 혹은 재무제표 상에 있는 용어인 PB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실제 투자자 분

jaybyg.tistory.com

 

 

2021년 하반기 대형 IPO 알아보기

코로나로 힘겨웠던 2021년 올해도 이제 절반이 다 지나갔는데요 오늘은 2021년 하반기에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대어급 IPO를 한 번 알아볼까 합니다. ※ IPO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래 글

jaybyg.tistory.com

 

 

투자를 위한 주식 용어 정리, 재무제표 보는 법(영업이익, 순이익,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 feat. N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를 위한 주식 용어(지표)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평소 월급만으로 저축해 오시던 저희 아버지도 주식투자나 해볼까? 하시면서 관심을 가지시더라고요... 주식

jaybyg.tistory.com

 

댓글